본문 바로가기

서버 관리/리눅스

ulimit

[1. 개요]

ulimit 은 시스템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고, 시스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한다.

시스템의 자원의 제한 값을 설정한다.

 

ulimit 명령어를 이용해 현재 세션의 설정 된 값을 확인하거나, 변경할 수 있다.

 

systemd 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, .service 파일에 직접 명시해야 한다.

 

PAM (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)

  •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인증 관련 작업을 모듈화 하여 처리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 워크
  • ssh, su, passwd 
  • /etc/pam.conf
  • /etc/pam.d/*

[2. 종류]

ulimit -c core dump 파일의 최대 크기
- 이 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core dump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.
- unlimited 로 설정 할 수 있음
ulimit -v 가상 메모리의 최대 크기 (KB 단위)
ulimit -n open 가능한 file descriptor 의 최대 개수
ulimit -s 스택 크기 (KB 단위)
ulimit -u 생성 가능한 프로세스 개수
ulimit -d 프로세스 데이터 영역의 최대 크기 (KB)

[3. 설정 파일]

/etc/security/limits.conf

  • 시스템 전체에 적용 시 사용
  • soft / hard limit 값 설정

/etc/security/limits.d/*.conf

  •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 값을 분리 할 수 있음.

설정 파일 변경 시, 새로운 세션으로 접속해야 반영 된다.

 

soft limit

  • 사용자가 값을 바꿀 수 있음

hard limit

  • soft limit 의 상한 값
  • root 만 변경 가능함.

 

'서버 관리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update-alternatives  (0) 2025.08.30
리눅스 크래시 로그 파악하기  (1) 2025.08.26
리눅스 패키지 관리  (0) 2025.05.01
samba 서버 설치  (0) 2025.05.01
리눅스 공유 라이브러리에 관하여  (0) 2025.04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