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1. 개요]
파일 공유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, SMB 프로토콜을 구현한 samba 를 설치하고,
운영하는 대략적인 방법을 정리한다.
환경
- Ubuntu 20.04
- redhat 계열...
설치 순서
- samba 패키지 설치
- 설정 파일 작성
- 사용자 계정 등록
- 데몬 재실행
[2. samba 패키지 설치]
# apt install samba -y
-- 아래는 설치 확인을 위함
# smbd --version
# systemctl status smbd
-- 아래는 optional (외부 접속이 필요한 경우 고려)
# apt install smbclient -y
[3. 설정 파일 작성]
default 로 아래 위치에 설정 파일이 있음.
- /etc/samba/smb.conf
설정파일의 구성은
대괄호를 기준으로 구분되며, 그 밑에 상세 설정을 기술한다.
ex)
[shared]
comment =
path =
read only =
valid users =
[shared] : 클라이언트에 표출 할 파일 이름.
comment : 설명
path : 공유할 디렉터리 경로
read only : no 를 명시할 경우, read write 모두 가능함.
valid users : 접속을 허용 할 계정 (나열 할 수 있음.)
[4. 사용자 계정 등록]
# smbpasswd -a "user_name"
- "user_name" 을 samba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.
- 시스템에 이미 존재하는 user id 를 기입해야 한다.
- password 는 user id 의 password 와 같을 필요는 없다.
필요 시, 이미 존재하는 계정을 삭제할 수도 있다.
- smbpasswd -h
- 위 명령어로 적절한 옵션을 찾도록 한다.
[5. 데몬 재실행]
# systemctl restart smbd
[6. 서버가 아닌 client 로 사용하는 경우]
- mount 해서 사용하는 경우
- smbclient 를 이용하는 경우
smbclient 를 이용하여, 파일 서버에 연결 및 명령어 수행 후 접속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사용 할 수 있다.
- --user 와 --password 를 명시하여 접속 할 수 있지만, 보안을 위해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는 편을 권장 함.
- -A 옵션을 이용하여, 계정정보가 명시된 파일을 전달.
# 물론, 이 파일의 퍼미션을 소유권자만 read 할 수 있도록 해야 함.
'서버 관리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패키지 관리 (0) | 2025.05.01 |
---|---|
리눅스 공유 라이브러리에 관하여 (0) | 2025.04.16 |
리눅스. 스택 크기에 관한 고찰 (0) | 2025.03.26 |
multibyte string to widechar string (0) | 2025.01.22 |
file 명령어 (0) | 2025.0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