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elnet
-원격으로 서버에 로그인하여 작업
-23번 포트를 사용
/etc/services
-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포트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
SSH
-평문으로 통신하는 Telnet과 달리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통신함
-22번 포트를 사용
-리눅스에서는 service ssh restart 로 ssh 데몬을 실행해야 함
HTTP
-State-less 프로토콜
-80번 포트를 사용
-root로 기동해서 80번 포트를 점유하고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형태로 실행됨
-\r\n\r\n 으로 HTTP내 헤더가 구분됨
-GET Method
--URL에 입력 파라미터를 끼워서 요청
-POST Method
--HTTP Body에 입력 파라미터를 끼워서 요청
--GET과 달리 입력 파라미터 사이즈의 제한이 없다
FTP
-보통 포트를 2개사용
-20번(데이터 포트), 21번(제어 포트)
-Active mode: 데이터 포트를 20번 포트로 사용
-Passive mode: 데이터 포트를 서버가 결정한데로 사용
-TCP기반
TFTP
-FTP와 달리 UDP를 기반으로 함
-69번 포트를 사용
DNS
-53번 포트를 사용
-UDP 기반
-nslookup
-DNS는 트리구조의 서버를 갖는다
-Root 도메인: 최상단
-Top-Level 도메인: 그 밑, .com, .org, .kr 등 국가나 지역단위를 나타냄
-순환 쿼리(Recursive Query): Local DNS 서버에 쿼리를 보내 완성된 답을 요청, 사용자 관점
-반복 쿼리(Iterative Query): Local DNS 서버가 다른 DNS서버에 요청을 보내 답을 알아내는 방식, DNS 서버 관점
-DNS 레코드
--type
---A: IPv4 주소 요청
---AAAA: IPv6 주소 요청
---NS: Name Server
---MX: Mail Exchanger, 메일 서버
---CNAME: 호스트의 다른 이름
---PTR: 역방향 조회 때 사용
---SOA: 도메인에 대한 권한을 갖는 서버를 표시
SMTP
-Store-and-Forward 방식, 메일 전송
-25번 포트 사용
-MTA: 메일을 전송하는 서버
-MDA: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
-MUA: 사용자 애플리케이션
POP3
-110번 포트 사용
-메일을 수신, MDA 프로그램
-읽은 메일을 서버에서 삭제
IMPA / IMAP3
-143번 포트 사용
-읽은 메일을 서버에서 삭제하지 않음
SNMP
-네트워크 관리 시스템
-MIB(Management Information Base): 모니터링해야 하는 객체 정보를 갖고 있다.
-161, 162번 포트 사용
-UDP 기반
DHCP
-67(서버), 68(클라이언트)번 포트 사용
-IP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동적으로 설정
1. DHCP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 주소를 알기위해 255.255.255.255 로 브로드캐스팅
2. DHCP 서버가 자신의 주소를 브로드캐스팅
3. DHCP 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
4. DHCP 서버가 IP주소 및 임대 시간을 전송