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서버 관리/리눅스

(12)
프로세스 관리 - ps, top [1. 개요] htop 이라는 유틸을 이용하면 좀 더 편하게 시스템을 모니터링 할 수 있지만, 이 유틸을 설치 할 수 없는 경우, build-in 된 유틸을 사용해서 모니터링 해야 한다. 주로 ps 와 top 을 사용한다. 이 두가지 유틸의 적당한 사용 방법등을 정리한다. [2. 프로세스 상태] 먼저 프로세스의 상태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먼저 정리한다. R => Running, 현재 실행 중 S => Sleep, 현재 block 중 D => I/O 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상태 Z => Zombie 프로세스 T => Stopped 이외에도 몇가지 상태가 더 있다고는 하는데, 크게 중요하지 않아 보인다. R, S, D 만 잘 파악하도록 한다. [3. 기타 필드 값 의미] %CPU %MEM VSZ / VIRT =..
프로세스 관리 - crontab [1. 개요]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job 을 자동적으로 실행되게 설정한다. crond 라는 데몬이 설정파일대로 작업을 수행한다. 설정 파일은 /etc/crontab 이나, 보통 crontab -e 로 수정하도록 한다. /etc/crontab 은 모든 유저의 작업을 설정하므로 실행 할 user 이름을 명시해야 한다. crontab -e 로 수정 시 현재 로그인한 user 로 실행 됨으로 user 이름을 명시할 필요가 없다. 로그는 보통 /var/log/cron 에 저장된다. [2. 설정 파일 구조] crontab -e 로 수정하는 것을 가정한다. => 실행 할 user 이름 명시가 필요 없다. 아래와 같은 순서로 한줄에 걸쳐 작성한다. 분 (몇 분) 시 (몇 시) 날 (몇 일) 달 (몇 월) 요일 (일요일..